
1. 부동산 시세 사전 검색오늘은 지난번 주거지역 선정 하기 다음 절차로 웹사이트나 앱을 통한 사전 정보 검색에 대해서 알아보자. 보통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한 사전 검색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는 해당 지역에 가서 공인중개사에게 문의하는게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절대 아니다. 공인중개사도 결국 장사치이다. 자신의 이익이 중요하고, 집을 보유한 사람과 수요자 사이에 저울질을 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수요자에게 100 % 유리하게 도와줄 것이라 생각하면 안된다. 그러니 기본적인 정보는 알고 가야지 손해를 줄일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인터넷을 통한 사전 검색시에 어떤 정보를 검색해야하고 가장 중요한 부동산 시세가 잘 나와있는 앱이나 사이트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하고자..
1. 주거지역 선정하기오늘은 부동산 계약(매매/월세/전세)에서 2번째 단계인 주거지역 선정하기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이전 포스팅에서 부동산 계약 절차의 첫번째 단계인 가용 가능 현금 계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리가 수중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았다면 이제 우리가 살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해야한다. 주거지역 선정은 개개인에 상황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편차가 클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집을 구할 때 고려하는 사항들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우리는 자신의 가정을 꾸린 이후에 적게는 3번 많게는 10여번의 이사를 하게 된다. 그러면 어떤 시기에 이사를 가장 많이 할까? 첫번째로 결혼을 해서 신혼집을 마련할 때 첫번째 이사로 살림을 합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
1. 아파트 계약전 가용 가능 현금(보증금) 계산하기 편오늘 소개할 내용은 부동산 특히 아파트 계약 절차 중에 첫번째 단계인 가용 가능 현금(보증금) 계산하기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사실 매매이건 전세이건 아파트 매매를 해본 사람들은 한번 쯤 대출에 대해서 알아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시중에 상당히 많은 대출 상품이 있고 사회 초년생의 경우 어떤 상품이 가장 메리트가 있는지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을 수 있다. 필자도 처음 집을 살 때 그러했던 것 같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저렴한 금리의 상품은 자격조건이 안되고, 금리는 자주 바뀌는 등... 알아보는데 애를 많이 먹었다. 그래서 오늘은 처음 집을 계약하거나 몇번 경험이 없는 독자들을 위한 대출에 관한 내용을 준비하였다. 특히 정부에서 어떤 저렴한 상품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