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전아파트 전망 분석지난해 대전부동산시세는 정말 대박이었다. 호황이었던 이유는 다양할 것이다. 서울지역의 부동산 규제에 여파로 투자처를 잃은 세력들이 대전에 내려왔다는 이야기도 있고 세종의 규제로 세종은 거래절벽현상이 발생하고 대전지역으로 투자세력들이 넘어왔다는 이야기들이 있었다. 모두 맞는 이야기이다. 투기세력이 내려온 것은 확실하다. 왜 하필 대전이었을까 한번 분석해보자. 2. 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에 의한 풍선효과지난해 부동산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규제였다고 생각이된다. 1년동안 약 10개가 넘는 규제가 쏟아졌다. 서울 지역에 유례가 없는 규제가 쏟아지면서 풍선 효과로 다른지역에 투기 세력들이 모여들었다. 대표적인 지역이 대전의 둔산동과 광주의 봉선동이었다. 둔산동의 대표 아파트인 크로바아파트..
1. 광주 부동산 전망올해 대한민국 부동산의 가장 호재는 서울과 광주가 아니었을까 생각이 든다. 서울의 경우 정부의 꾸준한 모니터링과 규제로 현재는 거래절벽현상으로 오름세가 주춤하지만 광주는 그러한 정부 규제를 비켜갔다. 서울에 투자처를 찾지못한 투기세력이 대전의 둔산동과 광주의 봉선동으로 내려가서 집값을 엄청나게 올려 놓았다. 광주 봉선동의 경우 필자가 분석해 본 결과 원래 집값의 약 60 % 정도가 올랐다. 엄청난 증가폭을 보였다. 그러면 이러한 증가 추세가 2019년에도 계속 될지 한번 알아보자. 2. 정부 규제의 가능성아직까지 광주는 투기지역으로 분류되지 않아서 규제가 없다. 그래서 투기세력이 지방에서 학군이 좋고 오를만한 곳을 찾다보니 광주의 봉선동을 찾은 것 같다. 외부 세력에 의해서 집값이 ..
1. 서울아파트전망오늘은 서울아파트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자. 제목에도 언급하였지만 현재 서울의 부동산은 거래절벽을 경험하고 있다. 2018년 한해동안 정부는 부동산 투기를 잡기위해서 다양한 규제 정책을 발표하였다. 가장 최근 9.13 대책을 통해서는 보유세를 올리는 등 다각도로 투기수요를 잡고자 시도하였다. 그러한 시도의 결과로 지금은 거래절벽현상이 나타났고, 호가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2018년 중반까지 급격하게 오르던 은마아파트가 최고가에서 약 3억 낮은 값에 매매가 되었다. 하지만 그래도 엄청나게 높은 매매가이다. 오늘은 서울 부동산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신도시 개발 발표얼마전 정부에서 3기 신도시 개발에 대한 발표를 하였다. 3기 신도시에 대한 정책의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