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구 부동산 전망 - 부동산 지수, 크로바아파트 거래 현황, 수요-공급 곡선!
1. 부동산 지수로 알아보는 대전 서구 부동산 전망
오늘은 대전의 중심 둔산동이 포함된 서구의 부동산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KB국민은행에서 제공하는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동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차트를 보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하였지만 다시한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단 주목해서 보아야할 그래프는 가격지수이다. 가격지수는 2019년 1월을 기준으로 계산이 되는데, 2019년 1월 가격지수를 100으로 기준으로 잡고 다른 시점은 계산이 된다. 가격지수가 100을 넘으면 거래가 증가세를 보여서 가격이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가격지수가 100 이하이면 가격이 하락함을 의미한다. 전세가격지수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면 먼저 매매가격지수(왼쪽 그래프)를 보도록 하자. 현재 시점인 2019년 7월 가격지수를 보면 101.5이다. 101.5이면 절대적인 수치로는 높은 수치가 아니다. 그렇지만 현재 시점에서 다른 광역시와의 도시들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작년 고강도 부동산 규제 이후에 거래절벽현상이 두드러지고 그 이후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되어왔다. 그런데 대전 서구의 경우 보합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그래도 다른 광역시에 비해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년 같은 시점인 2018년 7월을 보면 가격지수가 98 정도 된다. 그러면 올해 6개월간의 매매가격 변화보다 작년 가격 상승폭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올해 대전 서구의 부동산 시장은 매매의 관점에서 보합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점진적인 상승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전세가격동향을 보도록 하자. 전세의 경우에는 100.5로 상승폭이 1 이하로 크지 않다. 거의 보합세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보여진다. 작년 같은 시점의 경우 약 99.2로 올해 보다는 증가폭이 크긴 하지만 약 1년동안 거의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지금까지 전체적인 대전 서구의 부동산 현 상황을 분석해 보았다. 하지만 인기 지역은 투기 세력, 실수요자 등 다양한 요인으로 평균과는 조금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래서 대표적인 대전 서구의 아파트인 둔산동의 크로바아파트를 한번 살펴보자.
2. 둔산동 크로바아파트로 살펴보는 대전 부동산 현재 상황
대전 서구 둔산동에 크로바아파트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실거래가 정보를 알아보자. 크로바아파트의 작은 평수가 없는데 가장 작은 평수인 84 m2을 먼저 보도록 하자. 2018년부터 2019년 실거래가 정보를 보도록 하자. 2018년 초에 4.4억에 매매가 시작되어서 조금씩 증가해서 6월에는 5.1억까지 증가하였다. 5월에 매매가가 떨어진 것은 1층이 거래가 되어서 그렇다. 아무튼 84 m2의 경우에는 꾸준히 가격이 상승하였다가 작년 말 그리고 올해 초에 가격조정이 되었다. 꾸준한 상승에 투기세력의 유입으로 올라간 가격이 작년말과 올해 초에 조정이 되는 듯 하였으나 다시 올해 5월에 가격이 상승하였다.
114 m2을 보도록 하자. 투기세력의 유입이 더욱 확연하게 보여진다. 작년 9.13 대책 시점인 9월을 기준으로 가격이 급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다가 올해 상반기에 가격이 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전세가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선 부동산 지수에서 언급하였지만 부동산 매매가격은 꾸준히 상승하였고, 전세가는 보합세를 유지하였다. 앞서 언급한 매매/전세가격지수와 거의 유사한 동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부동산 매매/전세 가격으로 볼 때 대전 서구의 부동산 매매가격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 가능하고, 전세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3. 수요-공급 곡선으로 살펴보는 대전 부동산 전망
그러면 대전 서구의 부동산 수요-공급을 알아보자. 아래 표의 마지막 그래프를 보면 빨간색 선도가 부동산 수요량, 하늘색 선도가 부동산 공급을 의미한다. 그래프를 보면 현재 시점인 2019년은 수요과 공급이 동일한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2020년부터는 수요가 공급을 상회한다. 그러므로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면 시장 경제 원리로만 보았을 때는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다. 매매가와 전세가의 비율 차이를 보면 작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매매가와 전세가가 조금 벌어지는 거품 현상이 발생하긴 하였지만 다른 광역시의 투기 지역에 비해서는 그 폭이 크지 않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현재 대전 서구의 부동산의 점진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한 현상은 둔산동의 대표 아파트인 크로바 아파트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고, 앞으로의 수요-공급 상황으로 볼 때 꾸준한 공급 부족으로 대전 서구의 부동산 가격은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아파트 분양 정보 및 분양 아파트 실제 경쟁력 분석 |
제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 하나 꾹~~욱 눌러주세요~~^^
(궁금하신 점, 수정되어야 할 부분, 추가되어야 할 정보가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 비밀글도 ok!!)